💻 STUDY
[정처기 실기] 운영체제
삼색꼬치전
2024. 4. 12. 17:06
운영체제 : 인터페이스 + 커널
윈도우 운영체제
-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(GUI) 제공
- 선점형 멀티태스킹 방식 제공
- 자동감지 기능 제공
- OLE 사용
유닉스 운영체제
- 대화식 운영체제 기능 제공
- 다중 작업 기능 제공
- 다중 사용자 기능 제공
- 이식성 제공
- 계층적 트리 구조 파일 시스템 제공
(가상) 메모리 관리 기법
반입 기법 | 다음 프로세스의 반입 시기를 결정 |
배치 기법 | 디스크에 프로세스를 어느 위치에 저장할 지 |
할당 기법 | 프로세스를 주기억장치에 어떤 방법으로 할당할 지 |
교체 기법 | 어떤 프로세스를 제거할 것인지 |
1. 페이지 기법 : 페이지 맵 테이블,
2. 세그먼테이션 기법 : 논리적 단위를 적재 -> 실행
메모리 배치 깁버
1. 최초 적합
2. 최적 적합
3. 최악 적합
페이지 교체 알고리증
HRN 방식 : 가중치 방식으로. 가중치 : (대기시간+실행시간)/실행시간
FIFO 방식 : 가장 오래 사용 안 한 것부터.
프로세스
프로세스 상태 전이
- 디스패치 : 준비 상태에 있는 여러 프로세스 중 실행될 프로세스를 선정
- 타이머 런 아웃
- 블록 = 입출력 발생
- 웨이크 업 : 입·출력 작업이 완료되어 프로세스가 대기 상태에서 준비상태로 전이 되는 과정
권한 부여
chmod 사용자 그룹 기타사용자 file
읽기 4
쓰기 2
실행 1
스케줄링
1. 선점형 스케줄링
라운드 로빈 | 같은 크기의 CPU를 할당 |
SRT | 가장 짧은 시간이 소요되는 프로세스를 먼저 수행하고 남은 처리 시간이 짧다고 판단되면 언제라도 프로세스가 선점 |
다단계 큐 | 작업들을 여러 종류 그룹으로 분할, 여러 개의 큐를 이용하여 상위단계 작업에 의한 하위단계 작업이 선점 |
다단계 피드백 큐 | 입출력 위주와 CPU 위주인 프로세스의 특성에 따라 큐마다 서로 다른 CPU시간 할당량 부여 |
2. 비선점형 스케줄링
우선순위 | 우선순위에 따라 할당 |
기한부 | 작업들이 명시된 시간이나 기한 내에 완료 |
FCFS | 프로세스가 대기 큐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할당 선입선출 |
SJF | 프로세그가 도착하는 시점에 따라 가장 작은 서비스 시간을 갖는 프로세스가 점유 |
HRN | 대기중인 프로세스 중 현재 응답률이 가장 높은 것을 선택 |
서브넷 마스크